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보건소에서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 발급 방법

by 평온한하루 2023. 5. 2.
반응형

식품 위생업소 및 위생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은 1년에 한 번 건강진단결과서를 발급받아야 한다. 내 나이대에는 보건증이라는 말이 더 익숙한데 요즘은 건강진단결과서라고 부르는 가보다. 정규직이든 아르바이트든 식품과 관련된 곳에서 일을 하게 되면 보건증을 발급받게 되어 있는데 나도 보건증이 필요하여 발급받은 후기 공유한다.

준비물

 보건소에서 건강진단결과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신분증이 필요하다. 실물 신분증을 놓고 왔을 때에는 모바일 신분증으로도 확인이 가능한데 모바일 신분증 중에서도 PASS어플의 신분증은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보건소에서 요구하는 모바일 신분증은 정부 24 어플에서 제공되는 모바일 신분증만 효력이 있다고 안내받았다.

 보건소에 가자마자 민원신청서를 먼저 작성한 후에 신청서와 신분증을 들고 접수창구로 가면 된다. 접수 시 3000원의 검사비용이 발생하는데 현금, 카드, 페이 결제가 가능하다.

 보건소가 검사비용이 가장 저렴하고 간단하며 다른 병원에서는 피검사도 있고 비용이 조금 더 든다고 하니 선택하면 될 것 같다.

검사 과정

접수창구에서 접수 후에는 방사선실에서 흉부 X선 사진 촬영을 통해서 폐결핵 여부를 확인한다. 그다음 임상병리실로 넘어가 아주 긴 면봉을 받아 항문을 찔러 장티푸스와 세균성 이질 검사를 진행한다. 대기하는 사람만 없다면 검사과정은 10~15분 정도밖에 걸리지 않는다.

 

검사 결과

 검사 결과는 검사를 한날로부터 4~5일 정도 후에 결과가 나온다. 검사결과(건강진단결과서)를 받기 위해서는 보건소로 다시 방문하는 방법도 있지만 집에서 인터넷으로 바로 출력을 할 수도 있다. 인터넷으로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은 사이트 정부 24나 공공보건포털에서 확인하고 출력할 수 있는데 나는 공공보건포털 사이트에서 출력하였다. 출력방법은 공공보건포털에 접속하여 간편 로그인을 하고 민원서비스 - 증명문서발급 - 건강진단결과서(구보건증)를 클릭하면 인쇄할 수 있는 창이 뜬다. 직접방문과 인터넷 외에 주민센터에서도 건강진단결과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고 하니 편한 방법을 택하면 좋을 것 같다.

반응형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낭성난소증후군 증상과 개선 방법 자연임신  (1) 2025.02.19
장마철 실내 습도관리  (0) 2023.07.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