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에 예방접종을 맞으러 갔다가 신분증을 두고 와서 당황한적이 있다. 집까지 가기에는 너무 시간이 걸리고 우왕좌왕하던중 모바일신분증을 이용하여 무사히 접종을 마치고 올 수 있었다. 어느새 핸드폰 하나로 지갑과 신분증없이 편하게 업무를 보며 돌아다닐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내가 사용해본 모바일신분증종류와 이용방법을 공유하려고 한다.
PASS어플
내가 원래 가지고 있던 모바일 신분증은 PASS어플이다. PASS어플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본인명의의 핸드폰과 본인 신분증을 준비하고 PASS어플을 깔아준다. PASS는 KT,SKT,LG 3사의 통신사에서 제공된다. PASS어플 첫화면의 모바일신분증을 눌러 서비스이용동의 한 후 주민등록증 뒷번호와 발급일자를 입력해주면 된다. PASS어플에서는 주민등록증과 운전면허증 둘다 등록이 가능하다. 이때 본인인증번호6자리와 지문을 등록해주면 이용시 이 두개의 인증방법을 통해서 모바일신분증화면을 열어 사용이 가능하다. 나는 PASS어플에 운전면허증을 등록해 놓은 상태라서 문제없이 접수할 수 있을거라 생각했지만 내가 이용한 보건소에서는 PASS모바일신분증을 공식 면허증으로 인정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PASS어플은 꾀나 많이 알려져있고 사용자도 많은 어플로서 주민센터나 은행 등 공공기관에서 유용하게 사용했다는 후기들도 보았었는데 이건 기관마다 차이가 있는것 같다.
정부24 모바일신분증
PASS어플은 안되고 정부24어플에서 발급받은 모바일신분증만 인정된다고 하며 보건소에서 안내지를 주었다. 정부24어플은 원래 가지고 있었지만 이 어플에서도 모바일신분증을 발급받을 수 있는줄은 몰랐다. 발급방법은 먼저 정부24어플을 깔아준 후 이곳에 가입이 되어 있는 상태라면 로그인을 하면되고 가입이 되어있지 않다면 가입 후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카카오톡이나 네이버등의 간편인증으로도 회원가입 또는 로그인을 할 수 있다.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주민등록증 발급일자를 알아야하는데 이 발급일자를 알고 있는 이들은 그리 많지 않을 듯하다. 나 역시 발급일자를 알일이 없었고 이 발급일자 또한 정부24어플에서 확인이 가능하였다. 먼저 로그인을 한 후 화면의 오른쪽 상단 가로3줄이 있는 아이콘을 누르고 서비스 - 사실/진위확인 으로 들어간다. 창을 조금 내려 중간쯤 주민등록증 발급상황조회를 눌러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면 내 주민등록증의 발급일자를 확인 할 수 있다. 주민등록증의 발급일자를 확인했다면 다시 정부24어플의 첫화면으로 돌아간다. 로그인한 상태에서 첫화면의 중간쯤 보면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란이 보인다.이 창으로 들어가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발급일자를 입력한 후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에서 사용할 6자리의 비밀번호를 설정해주면 등록이 완료된다. 정부24 역시 본의명의의 핸드폰으로만 등록이 가능하다.
'일상정보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팡이츠 도보배달 (0) | 2023.01.18 |
---|---|
운전면허적성검사 및 갱신 온라인으로 (0) | 2022.12.30 |
성인 B형간염 예방주사 보건소에서 접종 (0) | 2022.12.25 |
가리비 손질 방법 간단한 요리 (0) | 2022.12.18 |
동작구 생활폐기물 배출 방법 (0) | 2022.12.15 |
댓글